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공무원 퇴직일시금 vs 퇴직수당 차이 총정리

     

    공무원이 퇴직할 때 받는 돈에는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가장 많이 헷갈리는 것이 바로 퇴직일시금퇴직수당입니다.

    이 두 제도는 모두 퇴직 시 받는 일시금 형태의 보상금이지만, 지급 목적과 기준, 대상자가 다르기 때문에 정확히 구분해 둘 필요가 있습니다.

     

     

    1. 두 제도의 기본 개념

     

    구분 퇴직일시금 퇴직수당
    정의 연금을 받지 못하는 퇴직자에게
    연금 대신 지급되는 일시금
    재직연수에 따른 근속보상금
    (연금 수급 여부와 무관)
    근거 법령 공무원연금법 공무원 수당 등에 관한 규정
    지급 시기 퇴직 후 1~2개월 내 퇴직 다음 달 말일 전후

     

    2. 지급 대상 차이

     

    ① 퇴직일시금

    • 재직기간 10년 미만인 공무원
    • 또는 연금 수급연령 이전 조기 퇴직한 경우
    • 퇴직연금 수급 조건을 만족하지 못한 자

    ② 퇴직수당

    • 모든 공무원에게 재직연수에 따라 일시금으로 지급
    • 정년퇴직, 명예퇴직, 중도퇴직 모두 포함

     

    3. 계산 방식 비교

     

    항목 퇴직일시금 퇴직수당
    계산 기준 재직연수 × 기준소득월액 평균 × 지급률(1.7%) 누적 재직연수 × 기준소득월액 평균 × 0.5
    지급 방식 일시금으로 전액 수령 일시금으로 별도 수령
    세금 퇴직소득세 부과 일부 비과세 또는 퇴직세율 적용

     

    4. 실제 예시 비교

     

    예시: 기준소득월액 300만 원 / 재직 9년 / 퇴직연금 수급 미달

    • 퇴직일시금: 공무원연금 대신 수령 → 약 3,800만 원 (누적 지급률 적용)
    • 퇴직수당: 300만 × 9년 × 0.5 = 1,350만 원 별도 수령

     

    5. 자주 묻는 질문 (FAQ)

     

    Q. 둘 다 받을 수 있나요?

    네. 퇴직일시금과 퇴직수당은 서로 다른 기준이므로 동시에 수령 가능합니다.

     

    Q. 퇴직연금 수급자도 퇴직수당 받나요?

    네. 연금 수급과 상관없이 재직연수만 있으면 퇴직수당은 별도 지급됩니다.

     

    Q. 퇴직일시금 받은 후에도 연금을 받을 수 있나요?

    아니요. 퇴직일시금을 받은 경우엔 연금 수급이 불가능하며, 연금 대신 일시금으로 종료됩니다.

     

     

    6. 결론

     

    퇴직일시금은 연금을 대체하는 보상, 퇴직수당은 재직에 대한 보상이라는 점을 기억하세요!

    공무원 퇴직 전 이 두 가지를 정확히 이해하고, 예상 금액을 계산해두면 퇴직 후 자산 계획에 큰 도움이 됩니다.

    반응형